<인공지능 AI 공존 패러다임>
인공지능 AI 공존 패러다임
김송호 저
새로운 인류 문화를 여는 기회가 될 인공지능 시대그리고 공존 패러다임이미 인공지능 때문에 일자리는 줄어들기 시작했다. 뉴스에도 심심치 않게 관련 보도가 흘러나온다. 뉴스 논평은 일자리가 줄어들어 노동자들의 미래가 어둡다는 암울한 이야기를 쏟아내지만, 해결책과 비전을 제시하지는 않는다. 아르바이트 시장에서...
산업혁명 때처럼 결국 일자리가 늘어날까?
진화된 멀티 T형 인재
성공보다 행복한 삶이 우선인 사회
새로운 인류 문화를 연느 기회가 될 인공지능 시대라고 한다. 그리고 인공지능과 인과과의 공존 패러다임이 존재하게 된다.
이미 인공지능은 우리의 일자리를 업생고 있다. 뉴스에도 심심치 않게 관련 보도가 흘러나온다. 뉴스 논평은 일자리가 줄어들어 노동자들의 미래가 어둡다는 암울한 이야기를 쏟아내지만, 해결책과 비전을 제시하지 않는다.
이 책의 첫 소제목인 '현실로 다가오고 있는 직장인의 위기'에서 저자가 직접 경험한 과거의 사례를 보여준다. 80년대 동양시멘트 삼척공장에서 경리직원들의 일을 애플 컴퓨터를 이용해 프로그래밍해 1주일간 고생하는 작업을 하루로 줄일 수 있었다. 그많던 경리직원들의 월급은 삭감되고 이후 필요없게 되었다. 이처럼 기술의 발전으로 일자리가 없어진것은 과거부터 쭉이어갔다.
인공지능도 마찬가지이다. 인공지능이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끼칠지,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지 속 시원하게 알려주는 언론이나 강의는 없다. 과연 우리가 이러한 인공지능 시대를 맞이하기 위해서는 할 일이 무엇일까?
한국은 개발도상국 후발대들의 추격과 경제의 저성장, 부의 양극화, 저출산 및 고령화, 청년 실어 증가 등 너무나 많은 시련에 봉착해 있다. 저자는 이러한 문제를 자보주의 체제, 특히 주주 자본주의와 금융 자본주의의 폐해에 의해 발생한 문제라고 한다. 이를 그대로 유지할 경우 인공지능 시대를 맞게 되면 사회적 문제들이 더 심화된다고 한다.
하지만 인공지능 시대에 맞게 사회적 패러다임을 바꾸고 그에 다라 정치 체제와 사회 시스템을 바꾼다면 자본주의 폐해에 의해 나타난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도 자연스럽게 해결되는 효과도 거둘 수 있을거라 기대하고 있다.
이 책은 인공지능을 인간의 행복한 삶을 위한 도구로 만들기 위함을 전달하고 있다. 일자리를 빼앗것을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바라보면 어렵고 힘든 노동을 대신해주는 것이다. 인간다운 일에 집중할 수 있게 되어 이상적인 사회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목차>
제1장 위기의 직장인
현실로 다가오고 있는 직장인의 위기
전문직도 대체하기 시작한 인공지능
엎친 데 덮친 고령화 현상
더욱 가난해질 가능성이 높아진 직장인의 처지
제2장 패러다임을 장악하라
지식보다 콘텐츠가 중요한 인공지능 시대
공짜가 대세가 되는 세상
공유와 상생의 패러다임
누구를 위한 인공지능인가?
제3장 요동치는 일자리
인공지능이 일자리에 미칠 영향
산업혁명 때처럼 결국 일자리가 늘어날까?
어떤 일자리가 줄어들고 어떤 일자리가 늘어나는가?
특히 청년 일자리가 줄어든다
일자리 개념의 변화
제4장 번영을 보장하는 기업
대량생산 기업보다 맞춤형생산 기업
하드웨어보다 소프트웨어를 중요시하는 기업
고객과의 상생을 추구하는 기업
창의적인 인재를 제대로 대우하는 기업
주주를 위한 기업이 아닌 사회를 위한 기업
제5장 스마트 비즈니스맨
인공지능 시대에 적합한 인재
네트워크형 인재
스마트 스킬을 갖춘 인재
T형 인재와 H형 인재
제6장 생존을 너머서
산업사회 기업에 다니고 있다면?
신의 직장에 다니고 있다면 안심?
창업을 준비한다면
인공지능 시대에 맞는 자녀 교육
은퇴를 준비하고 있다면
제7장 공존을 위한 정책
사회제도 개선이 필요한 이유
성공보다 행복한 삶이 우선인 사회를 만들자
기본소득 정책이 기본이다
직장인의 창업이 쉬운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에필로그 직장인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산업 시대의 소유 개념을 공유 개념으로, 개인 역량 강화는 개인 지식에서 협력 지식으로, 기본 소득 정책의 강력한 추진을 이 책에서는 인공지능과 함께 상생하고 번영하는 공존 패러다임으로 바라보고 있다.
인공지능 시대에 필요한 소통,협력 능력을 갖춘 창의적인 인재를 키우기 위해서는 새로운 생각과 시도를 개인과 사회가 개방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한다. 질문하고 토론하는 교육, 열린 마음 자세를 통해 소통, 협력 능력을 키워야한다. 다양한 분야의 책을 읽고, 다른 사람의 생각을 받아들이 훈련을 하며, 직장인들에게 주체적인 삶을 살면서 창의적이고 소통, 협력 능력을 키워야한다.
이처럼 우리 사회는 바뀌고 있다. 일자리, 기업, 사람, 사회 모두가 바뀌고 있다. 지금이 바로 패러다임이 바뀌어야할 시기이다. 우리모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Book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평]달콤한 연애수업 # 자기계발 # 달콤한 연애수업 (0) | 2019.03.06 |
---|---|
[서평]설득은 마술사처럼 #자기계발 #화술 (0) | 2019.03.04 |
[리뷰]나는 퇴직이 두렵지 않다 # 자기계발 # 퇴직 (0) | 2019.01.24 |
[리뷰]이것이 Fedora 리눅스다 (0) | 2019.01.24 |
[리뷰]입행의 정석 자기소개서편 탑뱅커가 알려주는 은행 취업 (0) | 2019.01.23 |